2025년 부모급여 계산기
아동수당, 양육수당, 육아수당을 한 번에 계산하고
놓친 혜택까지 찾아보세요
아동수당, 양육수당, 육아수당을 한 번에 계산하고
놓친 혜택까지 찾아보세요
0~11개월 월 100만원, 12~23개월 월 50만원
보육시설 이용시 차액 지급
만 8세 미만 모든 아동 월 10만원
부모급여와 중복 수령 가능
24~86개월 가정양육시 월 10만원
보육시설 이용시 지급 중단
첫만남이용권 200~300만원
서울: 무주택 주거비, 경기: 출산장려금
60일 놓쳐서 300만원 날린 사례 등
실수하기 쉬운 부분 총정리
2023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영아를 양육하는 모든 가정에 지급되는 현금 지원입니다.
연령 | 월 지급액 | 보육시설 이용시 |
---|---|---|
0~11개월 | 100만원 | 46만원 (차액 지급) |
12~23개월 | 50만원 | 2.5~10.6만원 (차액) |
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만 8세 미만(0~95개월) 모든 아동에게 지급되는 보편적 수당입니다.
어린이집·유치원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하는 경우 지급됩니다.
모든 출생아에게 지급되는 일시금 바우처입니다.
전문 산후도우미가 가정을 방문하여 산후 회복과 신생아 돌봄을 지원합니다.
구분 | 서울시 | 경기도 |
---|---|---|
산후조리비 | 100만원 (바우처) ❌ 조리원 사용 불가 |
50만원 (지역화폐) ✅ 조리원 사용 가능 |
임산부 교통비 | ✅ 70만원 | ❌ 없음 |
무주택 주거비 | ✅ 월 30만원×24개월 (최대 720만원) |
❌ 없음 |
출산장려금 | 6개 자치구만 운영 (강남구 최대 500만원) |
대부분 시·군 운영 (양평군 최대 2,000만원!) |
출생축하용품 | ✅ 10만원 상당 | ❌ 없음 |
구분 | 서울시 | 경기도 |
---|---|---|
장점 | 지원 종류가 다양함 (교통비, 주거비 등) | 산후조리비로 조리원 이용 가능! |
산후조리비 금액이 더 큼 (100만원) | 시·군별 출산장려금 파격적 (양평 2천만원) | |
특수 지원 많음 (난임 한의약, 공동육아 등) | 대부분 지역에서 출산장려금 지급 | |
단점 | 산후조리비로 조리원 이용 불가 | 지원 종류가 단순함 |
출산장려금 있는 구가 6개뿐 | 산후조리비 금액 적음 (50만원) | |
있어도 금액이 적음 | 교통비, 주거비 같은 특수 지원 없음 |
구분 | 지원금액 | 사용처 |
---|---|---|
단태아 | 100만원 | 산후도우미 본인부담금 산모 건강관리 물품·서비스 (산후조리원 제외) |
쌍생아 | 200만원 | |
삼태아 이상 | 300만원 |
🏠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
🎁 출생축하용품
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6개 구에서 자체 출산장려금 운영
♿ 장애아동 추가 지원
👶👶 다태아 가정 추가 지원
기타 서울시 지원:
출생아 수 | 지원금액 | 지급방식 |
---|---|---|
단태아 | 50만원 | 시·군 지역화폐 (해당 지역 내 사용) |
쌍둥이 | 100만원 | |
삼둥이 이상 | 150만원 |
지역 | 지원내용 |
---|---|
양평군 | 첫째 500만원, 둘째 500만원, 셋째 1,000만원, 넷째 이상 2,000만원 |
성남시 | 둘째 이상 월 10만원×12개월, 셋째 이상 월 20만원×24개월 |
안산시 | 둘째 100만원, 셋째 300만원, 넷째 500만원 + 셋째 이상 월 5만원(만12세까지) |
과천시 | 둘째 200만원 + 월 10만원×3년, 셋째 이상 500만원 |
수원시 | 셋째 200만원, 넷째 300만원 |
고양시 | 셋째 200만원, 넷째 300만원 |
♿ 장애아동 추가 지원
👶👶 다태아 가정 추가 지원
신청 방법 | 장점 | 필요 서류 |
---|---|---|
원스톱 서비스 (추천!) |
출생신고 + 부모급여 + 아동수당 + 첫만남이용권 한번에! |
신분증만 지참 |
온라인 신청 | 복지로, 정부24에서 24시간 가능 | 공인인증서 |
주민센터 방문 | 상담 받으며 신청 가능 | 신분증, 계좌번호 |
아래 사연들 읽다가 "에이 설마~" 하실텐데요. 네, 다 진짜예요. 뉴스에도 나온 실화들이고 맘카페 가면 더 많아요. 제발 남의 일이라고 생각 마시고... 미리 대비하세요 ㅠㅠ
아... 이거 진짜 많아요. 첫째 낳고 정신없잖아요? 모유수유 때문에 2-3시간마다 깨고, 신생아 목욕시키고, 병원 다니고... 그러다 보면 60일이 훅 지나가요.
저도 75일째 되는 날 갑자기 번쩍! "아 부모급여!" 근데 이미 늦었죠. 100만원 × 2개월 = 200만원 공중분해. 주민센터 가서 "제발요 ㅠㅠ" 했는데 "규정상 안됩니다" ㅋㅋㅋ 아 진짜... 그 200만원이면 기저귀를 트럭으로 샀을텐데...
2021년 12월 31일생 엄마들 모여봐요... 우리가 제일 억울해요. 2022년 1월 1일생부터 영아수당(지금 부모급여) 월 30만원인데 우리는 양육수당 15만원. 똑같은 0살인데 하루 차이로 월 15만원 차이!
청와대 국민청원 올렸어요. "12월생 차별 철폐!" 이러면서. 근데 답변이 가관이더라고요. "정책 시행일은 어쩔 수 없다" 아니 그럼 12월 31일생은 평생 서러워야 하나요? ㅋㅋㅋㅋ 2년간 총 360만원 차이... 아직도 속상해요 진짜.
이건 진짜 어이없어요. 미혼모 친구 얘긴데요. 출생신고가 좀 복잡해서 늦어졌대요. 그래서 주민센터 갔더니 공무원이 "출생신고 안하면 수당 신청 안돼요" 이랬대요.
알고보니 뭐야? 출생증명서만 있으면 신청 가능하대요! 6개월 동안 부모급여, 아동수당 다 못받은거에요. 총 600만원! 다행히 국민권익위원회에 신고해서 받긴 했는데... 공무원도 모르는 제도를 우리가 어떻게 알아요? 황당...
남편이 대기업 다니는데 미국 지사로 6개월 발령났어요. 가족동반이라 저랑 6개월 아기랑 같이 갔죠. 그런데 90일 넘으면 부모급여랑 아동수당 다 끊긴대요?!
아니 회사 때문에 가는건데... 애 키우는건 똑같은데... 왜 끊어요? 6개월간 매달 110만원씩 총 660만원 날아갔어요. 국민신문고에 "이게 저출산 대책이냐" 써놨더니 답변이 "규정입니다" ㅋㅋㅋㅋㅋ 아 진짜 빡쳐요.
송파구 살다가 강남구로 이사했어요. 왜냐? 강남구는 첫째도 200만원 주거든요. 송파구는 0원. 전세 구하고, 이삿짐 센터 예약하고 완벽했는데...
이사 3일 전에 애가 나와버렸어요 ㅋㅋㅋㅋㅋ 조기진통으로 뿅! 결과? 송파구민으로 출생 = 0원 펑펑 울었어요 진짜. "3일만 참아주지..." 하면서. 그래도 국민권익위 통해서 결국 받긴 했는데 그 과정이 너무 스트레스... 출산 후에 이런 거 신경쓰기 진짜 힘들어요.
경기도 연천군 사는데요. 산후조리비 50만원 지역화폐 받았어요. 좋다! 했는데... 우리 군에 산후조리원이 없어요 ㅋㅋㅋㅋ 산후도우미? 그것도 없어요. 아니 그럼 이걸 어디다 써요?
결국 마트에서 기저귀랑 분유 사는데 다 썼어요. 그것도 고맙긴 한데... 원래 목적이 산후조리 아니었나요? 다행히 작년 8월부터는 경기도 전체 사용 가능하게 바뀌었대요. 저는 이미 늦었지만요 ㅠㅠ 후배맘들은 잘 쓰세요...
위에 사연들 보고 "헐..." 하셨죠? 근데 이게 남의 일이 아니에요. 정말 조금만 놓쳐도 수백만원이 날아가요. 특히 이것만은 꼭!
맘카페 가보면 이런 사연 진짜 수두룩해요. "저만 이런가요?" 글 올리면 댓글 100개씩 달려요. 미리 알고 대비하면 막을 수 있는 일들이니까... 제발 꼼꼼히 챙기세요. 돈이 하늘에서 떨어지는 거 아니잖아요 ㅠㅠ
✅ 중복 가능:
❌ 중복 불가: 동일 목적의 지자체 사업 간 중복
🎯 복지멤버십이란?
가입자의 소득·재산을 분석해 받을 수 있는 복지서비스를 찾아 알려주는 맞춤형 안내 서비스입니다.
가입 방법 | 특징 |
---|---|
온라인 |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24시간 신청 가능 |
오프라인 | 가까운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(주소지 무관) |
자동가입 | 기초생활보장, 기초연금 등 일부 복지 수급자는 자동 가입 |
네, 가능합니다! 0~1세 아동은 부모급여(월 50~100만원) + 아동수당(월 10만원)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. 두 수당은 별개 제도이므로 각각 신청해야 합니다.
네, 받습니다! 부모급여는 소득 무관, 육아휴직 여부와도 무관합니다. 아이가 24개월 미만이면 모든 가정이 대상입니다.
아닙니다! 보육료 지원액이 상당히 큽니다. 0세반은 월 54만원, 1세반은 월 47.5만원의 보육료를 지원받습니다. 0세의 경우만 부모급여와의 차액 46만원을 추가로 받습니다.
계속 지원됩니다! 부모급여가 끝나면 가정양육수당(월 10만원)으로 자동 전환됩니다. 아동수당도 만 8세까지 계속 나옵니다.
아동별로 각각 신청해야 합니다. 서울시는 다태아 가정에 주거비 지원을 최장 4년까지 연장하는 등 추가 혜택이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.
2025년 기준 0세(0~11개월)는 월 100만원, 1세(12~23개월)는 월 50만원의 부모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보육시설 이용 시 보육료 바우처로 지원됩니다.
출생 후 60일 이내 신청하면 출생월부터 소급 지급되지만, 이후 신청 시 신청월부터만 지급됩니다. 예를 들어 3개월 후 신청하면 약 300만원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네, 가능합니다. 부모급여는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지급되며, 육아휴직급여와 중복 수령이 가능합니다.
만 0~7세 미만 아동 중 어린이집·유치원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지급됩니다. 0~11개월 20만원, 12~23개월 15만원, 24개월 이상 10만원입니다.